f 복전생존기 #3 학과수업 적응기
본문 바로가기
일지/복수전공

복전생존기 #3 학과수업 적응기

by 옥빛이 2023. 4. 27.

복전생존기 #3 학과수업 적응기는 쉬어가는 느낌으로 제가 학과 수업에 어떻게 적응하는 중인지 간단하게 작성해 보았습니다.


1. 수업 필기 & 녹음

  • 필기

처음에는 포스트잇이나 노트에 볼펜을 통해 수기로 적어나갔으나, 요즘은 노트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수기로 적는 방법이 맞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저의 경우에는 정말 비효율적인 방법이었습니다. 피피티에 있는 말과 아닌 말을 구분하지 못해 모두 적으려 하다 보니 팔도 아프고, 교수님의 말씀을 놓치기도 해서 정말 비효율적이더라고요 그래서 요즘은 노트북을 가져가서 강의 파일을 다운로드한 다음, 해당 파일에 코멘트를 적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 녹음

녹음의 경우에는 '클X바 노트'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오류가 많기는 하지만, 자동으로 대본까지 만들어주어서 나중에 다시 들을 때 편하더라고요. 녹음 시간을 다 사용하면 핸드폰 기본 어플을 통해 녹음을 하는 편입니다.

 

2. 강의 파일 정리

필기와 녹음 내용을 바탕으로 강의자료를 정리해 줍니다. 예시 상황과 같은 교수님의 설명은 피피티에 추가되어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부분들은 강의 자료에 첨삭해 주었습니다. 원서 수업의 경우에는 교수님께서 설명해 주신 내용들을 코멘트로 달아서 나중에 봐도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해 주었어요. 이렇게 하면 시험 공부할 때 정리 자료 한 두 번만 봐도 수업 내용이 생각나서, 시험공부가 수월해져요.

 

3. 조별 과제

조별 과제의 경우 모르는 사람이 조원이 되는 경우가 많잖아요? 그럴 때 저는 해당 수업에서 교수님께서 출석 부르실 때 같은 팀원인 분 자리를 기억해 놨다가, 쉬는 시간이나 수업 끝났을 때 그 자리로 가서 연락처를 받아갔어요 혹은 저희 학교에서 사용하는 '러닝엑스'라는 어플의 메시지 기능을 이용해서 연락처를 받았어요 이렇게 연락처를 교환한 다음에 단톡방을 만들었어요. 

 

팀플 과제를 하는 기간이랑 시험기간이 겹치지 않게 미리미리! 조별 과제를 끝내는 게 좋잖아요? 그래서 저는 보통 과제 마감 최소 2주 전에 이렇게 단체 톡방을 만들고 역할을 분담했습니다


저는 이런식으로 학과 수업에 적응해 나가는 중입니다. 원래 관심 분야였어서 수업을 따라가기가 많이 버겁지는 않은 것이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그럼 이만, 복전생존기 #3 학과수업 적응기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전글

복전생존기 #2 복전학과에서 친구 만들기

 

복전생존기 #2 복전학과에서 친구 만들기

복수 전공하시는 분들의 가장 큰 걱정이 '친구 어떻게 사귀지?'일 것 같습니다. 그래서 복전생존기 #2 복전학과에서 친구 만들기에서는 '친구 사귀기'에 대해 적어봤어요. 현재 기준으로 복전 하

confab.tistory.com

 

다음글

[대외활동] 교내 서포터즈 #0

 

[대외활동] 교내 서포터즈 #0

[대외활동] 교내 서포터즈 #0은 제가 하게 된 교내 서포터즈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저희 서포터즈의 발대식, 그리고 참여했던 행사에 대한 글입니다 단하나 서포터즈 단하나 서포터즈는 저희 대

confab.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