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 대학등록금 뽕 뽑기_도서관 이용 편
본문 바로가기
대학생활 조언

대학등록금 뽕 뽑기_도서관 이용 편

by 옥빛이 2023. 12. 24.

대학등록금 뽕 뽑기_도서관 편에서는 대학도서관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편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에 기술된 내용은 저희 대학교를 예시로 작성되었으며, 학교에 따라 차이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도서 대출 

학부생 기준 일 별 대출 제한 권수는 5권입니다. 한 번 대출할 때 2주의 열람 기간이 주어지며, 도서관 사이트에서 자체적으로 대출 기한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기한 내 반납을 하지 못할 경우 하루 당 100원의 연체료가 발생하며, 반납한 도서는 당일에 재대출 할 수 없습니다.

 

자신이 찾는 책이 학교 도서관에 없다면 '타도서관 이용신청' 서비스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해당 서비스는 전국 120여 개의 대학이 연합하여 상호대차가 가능한 서비스를 구현한 것으로, 발급받은 '타대학열람의뢰서'와 신분증을 해당 도서관에 제출한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대출한 도서의 경우 관외대출은 불가능합니다. 

 

또한, '전자책' 서비스가 있습니다. 해당 서비스는 국내와 국외의 전자책을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국내의 경우 교보, 우리전자책, YES24의 도움을 통해 전 주제 분야의 저서들을, 국외의 경우 다양한 해외학술지의 전자책을 무료로 관람할 수 있습니다. 희망하는 국외 전자책의 경우 신청을 통해 관람할 수 있습니다.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PC로 1회 로그인을 하시기만 하면 됩니다.

 

국내/국외 전자저널/학술DB

고등학생 때부터 논문에 관심을 가지고 찾아보셨다면, RISS와 DBpia 사이트를 알고 계실 겁니다. 고등학교 신분에서는 이 두 곳에 올라온 논문과 학술지를 제외하고는 구매를 통해 열람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대학생이 된다면, 대학교 도서관을 통해 국내/국외의 주 전자저널과 학술 DB를 무료로 이용 가능합니다. 저희 학교의 경우 국내 DB 10곳, 국외 DB 46곳과 제휴를 맺어 학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열람실 이용

대학교 도서관에도 다른 도서관들과 마찬가지로 열람실이 존재합니다. 대학생이 몇 백 명 단위가 아닌 몇 만 명 단위인 만큼 열람실도 여러 곳 존재합니다. 저희 학교의 경우 1 캠퍼스에는 8개, 2 캠퍼스에는 9개의 열람실이 존재합니다. 이 중 대학원 열람실도 각 한 곳씩 존재합니다.

 

이외에 치대 열람실, 법학 도서관 열람실 두 곳이 더 존재합니다. 그리고 학생들의 편의를 위해 방석 등을 구비하고, OTT 서비스를 마련해 둔 라운지가 각 캠퍼스에 한 곳씩 존재합니다.

 

마지막으로 여럿이서 함께 학습이 가능한 스터디실이 있습니다. 스터디룸은 하루 전까지 반드시 예약을 해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최소 2명부터 최대 8명까지 수용 가능할 정도로 상당한 넓이의 스터디룸은 조별 모임을 하거나, 스터디 모임을 할 때 이용하기 좋습니다.


이번 대학등록금 뽕 뽑기_도서관 편에서는 이렇게 대학교 도서관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여러 혜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상으로 이번 글을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전글

[새내기 필수] 통학 VS 기숙사(쉐하) VS 자취 #2

 

[새내기 필수] 통학 VS 기숙사(쉐하) VS 자취 #2

이번 [새내기 필수] 통학 VS 기숙사(쉐하) VS 자취 #2에서는 기숙사와 쉐어하우스의 장단점과 고려해야할 점 등에 대해 적어보았습니다. 기숙사/쉐어하우스 통학 다음으로 학생들이 많이 선택하는

confab.tistory.com

 

다음글

[새내기 필수] 통학 VS 기숙사(쉐하) VS 자취 #3

 

[새내기 필수] 통학 VS 기숙사(쉐하) VS 자취 #3

이번 [새내기 필수] 통학 VS 기숙사(쉐하) VS 자취 #3에서는 자취에 대해 다루어보려 합니다. 자취 수도권과 거리가 먼 지방의 학생들 혹은 지방과 거리가 먼 수도권의 학생들이 택하는 방법이죠.

confab.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