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새내기 필수] 통학 VS 기숙사(쉐하) VS 자취 #3에서는 자취에 대해 다루어보려 합니다.
자취
수도권과 거리가 먼 지방의 학생들 혹은 지방과 거리가 먼 수도권의 학생들이 택하는 방법이죠. 기숙사 신청에 떨어졌을 경우에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자취방 선택 시 고려해야할 요소
1. 학교와의 거리 |
자취방 선택 시 고려해야할 요소 중 가장 우선시되는 요소라고 생각됩니다. 이는 학생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아침잠이 많은 경우 학교와 가까운 거리에 거주하는 것을 선호할 것이고, 부지런하다면 학교와 거리가 조금 있는 곳에서 자취를 해도 상관없을 것입니다.
2. 경제적 여유 |
자취방 선택에 있어 개인의 경제적 여유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요즘 자취방의 한 달 월세는 최소 45~50만 원이며, 년세도 최소 400만 원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자취용품, 식비 등 한 달에 추가적으로 발생할 비용들도 같이 고려해야 하고요.
자취방 계약 시 체크할 것
1. 사기가 가능한 요소가 있는지 확인 |
- 국가공간 정보포털을 통해 중개업/부동산 정보 조희
- 인터넷 등기소를 통해 등기부등본 내 집주인과 소유주가 동일인물인지, 대출이나 압류는 없는지 확인
- 신탁회사 문의를 통해 임대차 계약권한 여부와 법적 권한 확인
- 자취방에 방문해 유령 건물은 아닌지, 밀린 요금은 없는지 등 파악
- 대리인 계약 시 위임장과 인감증명서, 집주인과 계약 시 신분증 진위 여부 확인
- 임대인 계약서와 임차인 계약서 상의 금액 일치 여부 확인
- 보증금은 집주인에게 직접 전달하기
2. 자취방 방문 시 확인할 요소 |
- 채광
- 베란다 벽지, 욕실 타일 사이 등 곰팡이가 존재할 만한 곳 꼼꼼하게 확인
- 수압 & 물 잘 내려가고 잘 나오는지 확인
- 방음
- 부엌 찬장 등에 벌레 알 없는지 확인
[새내기 필수] 통학 VS 기숙사(쉐하) VS 자취 #3에서는 이렇게 선택과 계약에 있어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전글
'대학생활 조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외활동 자기소개서 & 면접 조언 (2) | 2024.01.18 |
---|---|
[새내기 필수] '좋은' 대외활동 선택하기 (2) | 2023.12.28 |
대학등록금 뽕 뽑기_도서관 이용 편 (2) | 2023.12.24 |
[새내기 필수] 통학 VS 기숙사(쉐하) VS 자취 #2 (2) | 2023.12.24 |
[새내기 필수] 통학 VS 기숙사(쉐하) VS 자취 #1 (1) | 2023.12.23 |
댓글